리액트 프로젝트를 하면서 DB를 mysql로 선택.
RDBMS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중 하나인 Mysql를 통해 데이터를 생성, 저장, 수정, 삭제 등을 해보고자 한다.
일단 Mysql을 설치해보자
본인은 M1칩이 내장된 맥북을 사용중이므로 homebrew를 통해 설치한다.
내 컴퓨터에 homebrew가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하려면? 터미널에 brew - v 를 입력해 버전정보를 확인해보자.
1) homebrew 설치확인
2) mysql 설치 brew install mysql
3) mysql 시작 mysql.server start
4) mysql 기본설정 mysql_secure_installation
5. 설정하기
익명사용자를 삭제하겠습니까? Y
원격접속을 허용하지 않을 것인가? Y
Test DB를 삭제할것인가? N
Previlege 테이블을 다시 로드할 것인가? Y
* 설정과정 정리본_
1. 비밀번호 복잡도 검사과정(n)
2.비밀번호 입력 & 확인
3.익명 사용자 삭제 (y)
4.원격 접속 허용하지 않을 것인가? (y)
5. test DB 삭제 (n)
6. Previlege 테이블을 다시 로드할 것인가(y)
-> 설정을 마치면 All done! 메세지가 출력이 된다.
1) mysql 사용하기 mysql -u root -p >> 패스워드입력
2) show databases; -> database 확인하기 _ 생성되어있는 모든 데이터베이스의 목록 확인
3) use 데이터베이스이름 _해당 데이터베이스로 이동
ex. use mysql; _ database중에서 mysql이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겠단 의미 => Database changed -> 현재 mysql 데이터베이스로 이동했음을 의미
4) show tables; _ 생성된 모든 table 확인
ex. mysql 데이터베이스가 가지고 있는 테이블목록을 전부 보여준다.
**
데이터 목록, 테이블 목록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show 라는 선언을 특정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 위해 그 해당데이터베이스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use 를 선언한다.
1) create database `데이터베이스이름 `; >> 데이터베이스 생성
ex. create database `playground` ;
2) show databases; _ 데이터베이스 생성확인
ex. playground 데이터베이스 확인됨
3) Drop database `데이터베이스명`; _ 데이터베이스 삭제
ex. drop database playground; _ playground 데이터베이스 삭제
4) show databases; _ 데이터베이스 삭제 확인하기
ex. playground 데이터베이스 삭제확인
**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create 라는 선언을 특정한 데이터베이스를 삭제하기 위해서는 drop 을 선언한다.
localStorage개념 및 특징과 JSON.stringify / JSON.parse() 개념 (0) | 2025.05.04 |
---|---|
[React] 서버에서 데이터 전송 (0) | 2025.02.25 |
[Mysql] Sql 문법익히기 (DDL, DML, DCL) (1) | 2024.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