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사 테스트겸 nuxt.js를 사용해 볼 계기가 생겨 vue2 와 함께 작업을 해보기로 했다.
일단 nuxt.js란 무엇일까
nuxt.js는 vue.js를 기반으로 하는 프레임워크로,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 정적 사이트 생성(SSG), 그리고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CSR)을 모두 지원하는 강력한 도구다.
nuxt.js를 사용하면 vue.js로 개발할 때 복잡한 설정을 간소화하고, SEO(검색 엔진 최적화) 및 퍼포먼스를 개선할 수 있다.
18.14.0을 기반으로 한 node.js 환경에서 설치
터미널에서 npx create-nuxt-app 프로젝트명
그리고 이어서 환경을 프로젝트 성격에 맞게 설정 - tailwind.css를 사용할 예정이므로, tailwind.CSS를 선택
이렇게 환경설정이 끝나면 nuxt.js 프로젝트가 만들어진다.
tailwind.config.js 파일과 pages, assets 디렉토리는 추후 따로 만든 파일이므로 넘어가도 좋다.
[**pages, assets 디렉토리의 경우 만들어지는 경우가 있던데 본인은 그렇지 않아 따로 생성해주었다. ]
여기서 vue와 차이점이 있다면 .nuxt라는 디렉토리가 자동으로 생성되었다는 것.
.nuxt 디렉토리를 클릭하면 클라이언트파일, 서버파일이 함께 생성됨을 알 수 있다.
nuxt.js의 가장 편리했던 점은 라우터를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
pages라는 디렉토리내에 vue파일을 만들면, 자동으로 router.js 파일내에 루트경로가 생성이 된다.
header.vue, card.vue, customs.vue, footer.vue 등의 파일을 생성하니 자동으로 루트경로가 만들어졌다.
component: _숫자 -> nuxt.js 내 router 관련 일련의 변수로 보여진다.(자동으로 생성)
링크로는 기존 vue에서 사용하던 router-link가 아닌, nuxt-link를 사용해준다.
그리고 router-view 역할은 layouts 내 default.vue안 <Nuxt/> 가 대신해줌을 알 수 있다.
-
일단, 이렇게 nuxt.js 프로젝트 시작 설정을 완료하고 vue와는 살짝 다른 구조 및 사용 명칭을 확인했다.
본인의 경우, nuxt3는 이전 버전만큼 안정화된 것 같지 않아 nuxt2와 vue2를 사용하였다. 버전에 따라 알맞게 모듈을 설치하고 사용해보도록 하자.
[Vue] vue3 + vite 깃허브 페이지 배포하기 (0) | 2025.02.16 |
---|---|
[Vue] Tailwind.css(with Nuxt.js) 시작하기 (0) | 2025.02.13 |
[Vue] Vue 프로젝트 시작하기 - with vite (0) | 2025.01.17 |
[Vue] Vue 디렉티브와 computed, watch 속성 (0) | 2025.01.14 |
[Vue] Vue 인스턴스 라이프 사이클 (0) | 2025.01.13 |